산업안전컨설팅(유해.위험방지계획서컨설팅)전국

HP : 010-3348-3326 컨설팅 : 김형섭

산업안전보건법/시행규칙 별표

산업안전보건법 시행규칙

안전컨설팅(전국) 2022. 10. 20. 10:15

산업안전보건법 시행규칙

[시행 2021. 1. 16] [고용노동부령 제272, 2019. 12. 26, 전부개정]

 

고용노동부(산재예방정책과) 044-202-7690

고용노동부(산업안전과-안전관리자, 인증) 044-202-7729, 7733

고용노동부(산업보건과-교육, 건강검진, 석면) 044-202-7746, 7739, 7738

고용노동부(화학사고예방과-MSDS, PSM) 044-202-7758, 7754

 

1장 총칙

1(목적) 이 규칙은 산업안전보건법및 같은 법 시행령에서 위임된 사항과 그 시행에 필요한 사항을 규정함을 목적으로 한다.

2(정의) 이 규칙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뜻은 이 규칙에 특별한 규정이 없으면 산업안전보건법(이하 ""이라 한다), 같은 법 시행령 및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이하 "안전보건규칙"이라 한다)에서 정하는 바에 따른다.

3(중대재해의 범위) 법 제2조제2호에서 "고용노동부령으로 정하는 재해"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재해를 말한다.

1. 사망자가 1명 이상 발생한 재해

2. 3개월 이상의 요양이 필요한 부상자가 동시에 2명 이상 발생한 재해

3. 부상자 또는 직업성 질병자가 동시에 10명 이상 발생한 재해

4(협조 요청) 고용노동부장관이 법 제8조제1항에 따라 관계 행정기관의 장 또는 공공기관의 운영에 관한 법률4조에 따른 공공기관의 장에게 협조를 요청할 수 있는 사항은 다음 각 호와 같다.

1. 안전·보건 의식 정착을 위한 안전문화운동의 추진

2. 산업재해 예방을 위한 홍보 지원

3. 안전·보건과 관련된 중복규제의 정비

4. 안전·보건과 관련된 시설을 개선하는 사업장에 대한 자금융자 등 금융·세제상의 혜택 부여

5. 사업장에 대하여 관계 기관이 합동으로 하는 안전·보건점검의 실시

6. 건설산업기본법23조에 따른 건설업체의 시공능력 평가 시 별표 1 1호에서 정한 건설업체의 산업재해발생률에 따른 공사 실적액의 감액(산업재해발생률의 산정 기준 및 방법은 별표 1에 따른다)

7. 국가를 당사자로 하는 계약에 관한 법률 시행령13조에 따른 입찰참가업체의 입찰참가자격 사전심사 시 다음 각 목의 사항

. 별표 1 1호에서 정한 건설업체의 산업재해발생률 및 산업재해 발생 보고의무 위반에 따른 가감점 부여(건설업체의 산업재해발생률 및 산업재해 발생 보고의무 위반건수의 산정 기준과 방법은 별표 1에 따른다)

. 사업주가 안전·보건 교육을 이수하는 등 별표 1 1호에서 정한 건설업체의 산업재해 예방활동에 대하여 고용노동부장관이 정하여 고시하는 바에 따라 그 실적을 평가한 결과에 따른 가점 부여

8. 산업재해 또는 건강진단 관련 자료의 제공

9. 정부포상 수상업체 선정 시 산업재해발생률이 같은 종류 업종에 비하여 높은 업체(소속 임원을 포함한다)에 대한 포상 제한에 관한 사항

10. 건설기계관리법3조 또는 자동차관리법5조에 따라 각각 등록한 건설기계 또는 자동차 중 법 제93조에 따라 안전검사를 받아야 하는 유해하거나 위험한 기계·기구·설비가 장착된 건설기계 또는 자동차에 관한 자료의 제공

11. 119구조·구급에 관한 법률22조 및 같은 법 시행규칙 제18조에 따른 구급활동일지와 응급의료에 관한 법률49조 및 같은 법 시행규칙 제40조에 따른 출동 및 처치기록지의 제공

12. 그 밖에 산업재해 예방계획을 효율적으로 시행하기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사항

고용노동부장관은 별표 1에 따라 산정한 산업재해발생률 및 그 산정내역을 해당 건설업체에 통보해야 한다. 이 경우 산업재해발생률 및 산정내역에 불복하는 건설업체는 통보를 받은 날부터 10일 이내에 고용노동부장관에게 이의를 제기할 수 있다.

 

3.산업안전보건법 시행규칙(00272).hwp
0.58MB